
4대 리스크 대비하고 행복한 노후준비 하자 (머니in라이프)
싱글여성은 질병 발생에 대한 불안감이 노후 걱정의 큰 축을 차지합니다. 언제라도 편하게 찾아가 몸 상태를 점검 받을 수 있는 ‘나만의 주치의’를 만드시길 바랍니다. 의료비 준비도 소홀히 해서는 안 됩니다. 중증질환의 경우 치료 후 일상생활로 돌아오기까지의 기간에 대한 대비책이 필요합니다. CI보험, 암보험 등으로 의료비와 장기 입원치료로 인한 소득 상실기의 생활자금을 함께 마련해두도록 합시다.
특히 여성은 남성보다 오래 사는 만큼 홀로 긴긴 장기요양기를 보내게 될 수 있습니다. LTC종신보험 외 은퇴 이후 사망보장을 줄여 생활자금을 지급하는 종신보험 등으로 간병비와 노후생활비를 미리 준비해두는걸 추천드립니다.
싱글여성은 대부분 퇴직 후에도 일하고 싶어합니다. 반면, 구체적인 일자리 계획을 갖고 있는 사람은 18%에 불과합니다. 노후 커리어는 노후생활비는 물론이고 건강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는 만큼 지금부터 제2의 커리어 개발을 시작해야 합니다.
한편, 현재 커리어 만족도가 높은 사람은 노후준비도 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. 커리어 만족도가 높고 재테크도 잘 하는 ‘커리어 멘토’를 찾아 본인의 노후준비에 타산지석으로 삼아봅시다. 사회복지사, 보험설계사(FC), 아동심리상담사 등 전문성을 바탕으로 정년 없이 평생 할 수 있는 일을 찾아보는 것도 좋겠습니다.
차곡차곡 월급통장에 돈을 모아두는 것이 재테크의 전부였다면, 이제부터라도 적극적으로 움직여보도록 합시다. 평소 일간지 경제면을 꼼꼼히 읽는 습관을 들이고, 금융전문가(보험사 FC, 은행 및 증권사 PB)를 통해 구체적인 생애 재무설계 전략을 세워봅시다.
불필요한 씀씀이도 줄여야 합니다. 싱글여성은 의류신발비, 오락·여행비, 이미용·장신구 구입비 등 ‘변동성 지출’의 비중이 큰 편입니다. 변동성 지출을 지금보다 줄여 노후자금 저축 여력을 만드는 게 급선무입니다. 또한 요즘 같은 저금리 상황에서는 은행 예금 외에도 연금보험, 변액보험 같은 절세·투자상품으로 자산 포트폴리오를 다양화해야 합니다.
3040 싱글여성이라고 하더라도 47%는 현재 부모님 등의 부양가족이 있고, 71%는 향후 부모님을 모실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. 평균수명이 길어진 만큼 이젠 노부모님과 함께하는 노후까지 고려해 계획을 세워야 합니다. 50대 퇴직 시점에 80대 부모님이 살아계실 확률이 높기 때문입니다.
책임져야 할 부양가족이 있는 싱글여성은 노후에 연금전환이 가능하고 본인의 사망 또는 질병까지 보장받을 수 있는 종신보험 가입을 고려해봅시다. 또한 노후에 경제적으로 어려움을 겪지 않으려면 국민·퇴직연금에 개인연금을 더해 부모님과 함께 쓸 평생소득도 충분히 확보해둬야 합니다.
<출처: 머니in라이프, 2018년 6월호>
※ 준법감시필 2018-1027 (디지털혁신팀 '18.06.27)
보기 싫은 블랙 트라이앵글은 왜 생기는 걸까요? (0) | 2018.07.19 |
---|---|
자다가 돌아다니는 아이, 어린이 몽유병일까? (0) | 2018.07.16 |
4대 리스크 대비하고 행복한 노후준비 하자 (머니in라이프) (0) | 2018.06.27 |
충치보다 풍치, 연령에 따른 치아고민의 변화 (0) | 2018.06.26 |
여름맞이, 흘러내리는 뱃살 빼는 운동! (0) | 2018.06.25 |
미세먼지만큼 오존도 폐 건강에 치명적 (머니in라이프) (0) | 2018.06.14 |